훈민정음(100대 한글 문화유산1) 상세보기
박창원 지음 | 신구문화사 펴냄
우리 선조들이 남긴 소중한 국어 고전 자료를 소개하는 <100대 한글 문화유산> 제1권. 이 책에서는『훈민정음』을 역주하고 해설하였다. 국어 전공자가 아닌 일반인이나 중ㆍ고등학생들도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고 해제하였다.
알파벳과 여신 상세보기
레너드 쉴레인 지음 | 파스칼북스 펴냄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의 이전에 깨닫지 못했던 문자 문명의 어두운 그늘을 살펴보고 있으며, '아이콘 혁명'이라고 부르는 거대한 변화를 이야기한다. 또 두뇌 해부학, 뇌 기능 이론, 인류학, 역사, 종교를 포함 하는 광범위한 주제에 놀란 만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며, 알파벳 문자 문명(글을 읽는 과정 그 자체)이 인간 두뇌를 재편하고, 역사.종교.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하는 이 책은 역사와 문명에 관한 새로운
논리 거짓말 리비도 히스테리 상세보기
크리스티 브라운 지음 | 여이연 펴냄
히스토리가 남성들의 이야기라면 히스테리는 여성들의 이야기이다. 이 책의 저자는 히스테리를 서융문화의 모든 영역이 만나는 집결점으로 파악한다. 저자는 서양의 사유가 자연·인간·사회 및 그에 대한 표상들을 차츰 변화 혹은 품질 개량한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제1부에서는 히스테리의 묘사와 개념의 역사를 다루고, 로고스와 히스테리를 대립시킨다. 그리고 제2부에서는 이 두 적대자들과 로고스의 권력으로 인해 초래된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문예신서 191) 상세보기
자크 데리다 지음 | 동문선 펴냄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의 관계를 규정하는 책. 우리의 문화가 문자 기호에 부여한 의미들을 분석하고,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의 위상적 문제, 그리고 이 텍스트에 특유한 시대와 공간의 문제를 다룬다.
미디어의 이해(현대사상의 모험 8) 상세보기
마셜 맥루언 지음 | 민음사 펴냄
캐나다 출신의 문명 비평가이자 커뮤니케이션 이론가인 마셜 맥루언의 저서. 음성 언어, 문자 언어, 의복, 주택, 인쇄, 만화, 사진, 신문, 광고, 전화,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등의 글을 통해 오늘의 미디어에 관한 길을 제시해 주고 있다.
형태의 탄생 상세보기
스기우라 고헤이 지음 | 안그라픽스 펴냄
형태는 어떻게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내는 것일까? 형태를 틀과 생명의 복합적인 의미로 다시 파악하여 설명했다. 일상 생활에서 넘치는 형태, 축하하는 장소나 종교 의례와 관련된 형태, 신체의 특성을 표현하는 형태, 아시아의 형태, 인간과 형태 등의 관련 방식을 다양한 관점에서 서술했다.
디지털시대의 글쓰기 상세보기
빌렘 플루서 지음 | 문예출판사 펴냄
문자와 글쓰기 행위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문자와 글쓰기,그것으로 형성되는 인간의 사고방식이 디지털시대에 변화될 가능성을 논의하고 문자의 운명 을 서술한 저서. 메타문자,표면문자,텍스트,문예창작,읽기방식,편지,코드변환 등 글쓰기의 변모를 통찰했다
까다로운 주체 상세보기
슬라보예 지젝 지음 | b 펴냄
주체의 문제를 근본성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슬라보예 지젝의 저서.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의 3대 주저 가운데 하나인 <까다로운 주체>는 이른바 철학에서의 지리학적 삼인방이라고 할 수 있는 독일철학, 프랑스철학, 영미철학 모두와 대결하는 책이다. 이러한 세 가지 대결이 이 책의 각 부를 구성한다. 제1부에서는 독일관념론 및 하이데거의 철학을, 제2부에서는 알튀세르를 계승한 현대 철학자들을, 제3부에서는 '정체성
중국문자학 상세보기
구석규 지음 | 신아사 펴냄
구석규의 <문자학개요>를 완역한 책. 저본은 중화민국에서 1994년에 만권루도서공사에서 나온 번체자 수정본을 사용하고 있다. 문자 형성의 과정과 한자의 성질, 한자의 형성과 발전, 형체의 연변, 한자의 기본 유형의 구분, 형성자 탄생의 경로, 형방의 표의 작용, 성방과 자의의 관계, 문자의 분화와 합경 등에 대해 다뤘다.
영화 속의 얼굴 상세보기
자크 오몽 지음 | 마음산책 펴냄
영화 이미지학의 대가, 자크 오몽의 '이론적 에세이' 혹은 '성찰적 이론서' <영화 속의 얼굴>. 얼굴이라는 하나의 개별적인 주제를 통해 영화의 변천사를 개괄하고, 영화 이미지의 본질을 살펴보는 책이다. 영화에서의 얼굴에 대한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고찰을 담고 있으며, 독창적인 작품 분석과 이론적 객관화를 절묘하게 병행하고 있다. 저자는 영화에 나타난 얼굴 이미지를 사진, 연극, 관상학, 실험 예술 등의 인접 장
. 고대 영상대학원
. 히스테리, 그리마톨로지, 디지탈 시대의 글쓰기, 형태의 탄생.